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전선(Wire, Cable)의 규격을 표현할 때 도체의 단면적을 사용하여 10SQMM(제곱미터) 처럼 표시합니다.
단, 미국에서는AWG 단위를 사용하는데, 실제의 사양서를 보지 않고서는 도체의 단면적을 알 수 없어 번거롭죠.
AWG는 직경0.46인치(11.68mm)를 가장 큰 규격으로 하고 직경0.005인치(0.127mm)를 가장 작은 규격으로 하여 그 사이를39단계의 등비급수로 나눈 방식이다.
가장 작은 규격을 AWG36으로 정하였고 번호가 적어질수록 더 큰 도체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도체의 종류를 AWG0 보다 더 큰 사양의 도체가 3개가 추가되면서 붙일 이름이 없어, AWG00, AWG000, AWG0000처럼 0을 여러 번 적어 표현하였습니다.
통상 AWG1/0, AWG2/0, AWG3/0, AWG4/0처럼 표현합니다.

AWG 규격을 mm단위의 직경으로 변경할 때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단면적 SQMM(㎟)은 피복을 제외한 도체의 단면적이므로,
예를 들어 14AWG 케이블의 단면적은 2.08SQMM이지만, KS규격에는 2.08㎟(SQ)의 규격을 가지는 케이블은 없으므로 대신 근접한 사이즈의 2.0SQMM의 케이블이 대칭됩니다.
'소소한 일상 > 공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Cycle time과 Takt time (Tact time) (0) | 2024.10.28 |
---|---|
사출 게이트(Gate)의 역할과 설계의 원칙 (0) | 2023.02.06 |
[공정]Laser welding 과 초음파(Ultra Sonic)용접의 차이점 (0) | 2023.02.05 |
[Material] Comparison of EPP and EPS Foam (0) | 2022.11.07 |
열선(히팅케이블)의 저항, 전력, 온도 상승 계산식(엑셀 포함) (1) | 202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