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일상/제품 실속 구매법

음식물 처리기 소비전력과 한달 전기세(전기요금)

수학과 일상 2024. 11. 18. 20:05

안녕하세요.
삼시세끼 좋아하시나요? 
최근 방영된 삼시세끼에서 음식물 처리기가 잠깐시 노출이 되어서 제품을 관심 있게 봤습니다. 현대인들의 필수템이라고 하긴 뭐하지만, 최근 음식물 처리기를 사용하시는 주부님들이 많이 늘었는데, 사용하시면 확실히 편리하고 위생을 크게 개선해 주긴 합니다. 
하지만, 구매를 고려할 때 많은 사람들이 음식물 처리기의 전기세 문제를 걱정합니다. 과연 음식물 처리기의 전기세는 얼마나 나오며, 이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음식물 처리기의 소비전력 분석

음식물 처리기의 처리 방식에서는 고온건조 방식과 미생물 발효 분해 방식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고온건조 방식의 제품에는 쉘퍼, 미닉스 제품이 유명하고, 미생물 발효 분해 방식은 린클이 유명합니다.

쉘퍼 제품 소비 전력 확인
미닉스 제품 소비 전력 확인
린클 제품 소비 전력 확인

소비 전력 분석 결과 고온 건조 방식은 500~550W 제품이 많았으며, 미생물 발해 분해 방식은 47~70W 수준이 었습니다.

음식물 처리기 전기요금 계산

우리 나라 전기세는 전기 사용량에 따른 누진 요금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전기량를 사용하더라도, 전기 요금이 다른게 나오게 되는데, 보통 1인 가구의 경우 1단계, 2~3인 가구의 경우 2단계, 4인 이상의 가구에서 3단계 요금이 일반적으로 많이 나옵니다.
1단계 요금 구간은 0~30,000원, 2단계는 30,000~80,000원, 3단계는 80,000원 이상 구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용 시간은 보통 5시간, 10시간 정도 두 부류로 나눠서 사용을 가정했을 때, 월 전기 소비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위의 계산을 기반으로 2~3인 가족, 월 평균 전기세가 30,000원~80,000원 나오는 가정에서의 고온 건조 방식으로 하루에 5시간 사용하면, 월 16,000원의 전기세가 나오고, 미생물 방식으로 할 경우는 2,000원 가량의 전기세가 발생할 걸로 예상입니다. 순수하게 전기세만 놓고 본다면 미생물 방식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 및 추천 제품

 
음식물 처리기의 구매를 고민하실 때, 전기세만을 고려할 경우에 린클 그래비티를 추천 드립니다. 기존의 건조 분쇄 방식 대비하여 장점도 많다고 하오니, 아래의 표와 링크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제품 링크

추천 제품 링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